파킹 통장 국민은행 및 시중은행 금리 비교 해봤습니다.
파킹 통장 다소 생소하게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많은 분들은 하나씩은 가지고 계실 거란 생각입니다.
하여 오늘은 파킹 통장의 뜻과 은행별 금리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킹 통장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주차를 생각하시면 편한 게 주차를 하는 것처럼 단기간 동안 자금을 보관하는 통장을 뜻합니다.
-내가 가진 자금이 통장에 고정되어 있으면 시중에 일반적인 금리보다 이자가 높으며 일반 통장과 마찬가지로 입출금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진 통장입니다.
-자유 입출금식 통장과 비슷하지만 금리에서 차이가 나기에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장입니다.
-일반적인 자유 입출금식 통장의 경우 금리가 0.1%의 수준이지만 파킹 통장의 경우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정기 예금 및 적금과는 달리 수시로 자금의 입출금이 가능하고 예금자 보호법도 적용되어 최대 5,000만 원 까지 원금 보장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아래 표는 은행별 파킹 통장 금리 비교입니다.
은행 | 상품명 | 금리 | 특징 |
SC 제일은행 | 마이줌통장 | 1.5% | 성정금액 초과 잔액은 연 1.0%금리 적용 |
SC 제일은행 | 마이런통장 | 0.1~1.8% | 최대 6개월까지 예치기간 별 금리 상이 |
한국씨티은행 | 씨티자산관리통장 | 0.1~1.5% | 예금, 펀드 등 거래 실적에 따라 금리적용 |
SH 수협은행 | 내가만든통장 | 1.3% | 하루만 맡겨도 지정금액 넘으면 금리 적용 |
광주은행 | 머니파킹통장 | 1.6% | 예금잔액 구간에 따라 우리대금리 적용 |
케이뱅크 | 듀얼K입출금통장 | 1.5% | 액 설정후 한달간 유지 필요 |
카카오뱅크 | 세이프박스 | 1.2% | 계좌 속 잔고 분리 관리기능 |
▶ 아래 자유, 입출금 가능한 파킹 통장 알아봤습니다.
은행 | 상품 | 금리(연) |
케이뱅크 | 듀얼K입출금통장 | 최대 1.5% |
한국씨티은행 | 씨티자산관리통장 | 최대 1.5% |
SC 제일은행 | 마이줌통장 | 최대 1.5% |
우리은행 | 스무살 우리적금 | 최대 3.7% |
SBK 저축은행 | SBI 사이다 보통예금 | 최대 2.8% |
위에 표에 나와 있듯이 파킹 통장의 금리는 특정 조건을 갖추면 은행에 따라 연 1.5~1.8%인걸 알 수 있습니다.
파킹 통장의 개념은 2015년 SC제일은행, 한국시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을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해 현재는 신한은행,
국민은행에서도 출시됐습니다.
▶파킹 통장이 생긴 이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주요 저축은행들은 낮은 예금 마진을 감수하면서도 수신유치 이상의 고객 접점 효과를 키우기 위해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저축은행이 1 금융권에 비해 고객 인지도 부분에서 확실히 낮기에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습니다.
-SBI 저축은행은 모바일 전용 파킹 통장으로 연 2.0% 입출금통장 상품 사이다 뱅킹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것 말고도 다양한 파킹 통장이 존재하니 확인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통장을 만드시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파킹 통장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수없이 많은 적금 상품과 예금상품이 있지만 파킹 통장 또한 자금을 조금 더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필요하단 생각이 듭니다. 사회 초년생 분들에겐 아직 필요 없는 상품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상식으로 알아두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안 생선 냄새 제거 손비린내 없애는 방법 (0) | 2020.05.09 |
---|---|
환경미화원 연봉 채용 근무시간 되는 법 알아봤습니다. (0) | 2020.05.08 |
위생사 연봉 식품위생사 자격증 알아봤습니다. (0) | 2020.05.06 |
대장내시경 금식 준비 부작용 알아봤습니다. (0) | 2020.05.04 |
공무원 근속승진 경찰 소요연수 소방공무원 계산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