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1순위 조건, 가점기준 및 가점계산 가점 올리는 법 입니다.
정부에서는 집값을 잡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계속해서 내놓고 있지만 시세 대비 저렴한 분양가에 새로 건축하는
아파트로 청약 열풍이 식지 않아 당첨이 생각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 주택청약 가점 적용 방법, 산정 기준표
청약가점제: 1순위에 해당하는 청약자 중에서 지원자가 많은 경우에는 무주택기간 32점, 부양가족수 35점, 청약통장 가입기간17점 세 가지를 합산해 산정한 뒤 가점 점수가 높은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합니다.
구분 | 민영주택 | 국민주택 |
전용면적 85㎡ 이하 저축 종류 | 주택청약 종합저축(청약예금, 청약부금) | 주택청약 종합저축(청약저축) |
전용면적 85㎡ 이하 당첨자 선정방법 | 가점제 40%, 추첨제 60% 단, 예외규정 적용시 가점제 최대 100% |
순차별공급 |
전용면적 85㎡ 초과 저축 종류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예금) | |
전용면적 85㎡ 초과 당첨자 선정방법 | 추첨제 예외규정 적용시 가점제 50%, 추첨제50% |
- 가점제 낙첨자는 별도의 신청 없이 추첨제에 의한 당첨자 선정 대상자에 포함되어 추첨합니다.
- 예외규정, 수도권 보금자리지구(GB 해제 면적 50% 이상), 주택거래신고지역, 투기과열지구
▣ 민영주택
* 청약 순위 1순위, 2순위에 따라 입주자를 선정하며, 1순위 미달 시 2순위 입주자를 선정합니다.
* 1순위 중 같은 순위 안에 경쟁이 있는 경우 가점 및 추첨제로 입주자를 선정 합니다.
* 2순위는 추첨 방식으로 선정 합니다.
*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추첨제 당첨자 선정 기준입니다.
대상 주택: 청약과열지역, 투기과열지구, 수도권 및 광역시에서 공급하는 민영주택 1순위
단, 가점제 100% 적용해 입주자 선정 주택은 제외입니다.
적용기준: 1순위에서 추첨제를 적용하는 주택수보다 추첨 대상자가 많으면 아래 순서로 선정합니다.
1. 추첨으로 공급되는 주택 수의 75%를 무주택 세대에 속한 자 우선 공급
2. 나머지 주택(제1호에서 공급하고 남은 주택 포함)은 무주택 세대에 속한 자와 1 주택을 소유한 세대에 속한 자에게
우선 공급
3. 상기 제1, 2호에서 공급하고 남은 주택은 상기 외 주택 소유자(1 주택 소유(주택 처분) 및 1 분양권 등 소유 세대에 속한 자 등) 에게 공급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 일반공급 신청 조건
1.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및 세대주인 미성년자
2. 입주자 저축 순위별 자격 요건에 맞는 자
입주자 저축 순위별 자격 조건- 민영주택 청약 예치 기준 금액 | |||
구분 | 기타 시, 군 | 서울, 부산 | 기타 광역시 |
전용면적 85㎡ 이하 | 200 | 300 | 250 |
전용면적 85㎡ 이하 | 300 | 600 | 400 |
전용면적 85㎡ 이하 | 400 | 1,000 | 700 |
모든 면적 | 500 | 1,500 | 1,000 |
단위 만원
▣ 주택청약 1순위 조건(지역에 따라 다름: 민영주택 기준)
서울 일부 아파트의 경우 청약 만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수도권 대부분의 당첨 평균 가점 기준이 60점 이상이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청약 가점이 낮은 경우 청약 가점 올리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청약 가점 올리는 법
아쉽게도 증여를 할 수 있는 청약통장 상품은 가입이 불가능한 청약예금, 청약저축, 청약 부금 세 가지입니다.
주택종합청약저축은 본인의 개명, 사망 후 상속을 통한 명의변경만 가능합니다.
청약저축 | 가입 시기와 관계없이 증여 가능 | 증여받을 자녀 및 배우자 등 직계 존 비속을 세대주로 변경 해야 함 증여받을 자가 세대주여도 세대가 분리된 상태면 증여 불가능 * 단 배우자의 경우 세대를 분래해도 증여 가능 청약통장 증여 횟수 제한 없음, 증여받은 통장을 사용하려면 본인 청약통장을 해지하고, 기존 청약통장의 예치금은 증여받은 통장과 합산 할수 없습니다. |
청약예금 | 2000.3.26 이전 가입 된 통장만 가능 | |
청약부금 | 2000.3.26 이전 가입 된 통장만 가능 |
가입기간이 오래된 부모님의 청약통장을 증여받게 되면 당첨 확률은 올라갑니다.
결혼해서 자녀가 있는 자가 부모님과 동일한 세대로 합치면 부양가족수가 늘기 때문에 두 가지 항목에서 가점이 올라
갑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n s 차이 재미로만 봐주셨으면 합니다. (0) | 2021.03.12 |
---|---|
임신 착상혈 시기 및 증상 알아 봤습니다. (0) | 2021.03.11 |
여자 음모 습진 및 여성 생식기 주변 가려움 증상 및 원인 입니다. (0) | 2021.03.09 |
영유아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및 아기 아토피 원인 및 증상 입니다. (0) | 2021.03.08 |
2021년 한부모가정 지원혜택, 자격조건, 구비서류, 지원금 입니다.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