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 정보 알아봤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정책들이 알면 알수록 너무나 많아 깜짝깜짝 놀라는 요즘입니다.
청년 기본소득 저도 이번에 알게 됐는데 제도 내용이 사회적 기본권 실현을 위한
경기도형 기본소득 제도로 만 24세 도내 청년 누구나 조건만 충족하면 분기별로 25만 원씩 1년에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해 주는 제도라고 합니다.
지원대상은 경기도에 3년이상 연속 거주자 이거나 일수의 합이 10년 이상 1995년 1월 2일~1996년 1월 1일 사이 출생
만 24세 경기도내 청년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사업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요예산: 1,506억원(도비 70%, 시군비 30%) 단위: 억 원/명입니다.
-지원 근거: 청소년 기본법 제3조,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급 조례에 의거합니다.
-사업대상: 만24세 청년 지원대상은 경기도에 3년 이상 연속 거주자 이거나 일수의 합이 10년 이상 1995년 1월 2일~1996년 1월 1일 사이 출생, 만 24세 경기도 내 청년은 신청 가능합니다.
-사업량: 2020년~2022년 15만명 이 대상입니다.
-지원내용: 1인당 분기별 25만원씩 연 총 100만 원입니다.
지급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기준일: 매 분기 시작 월 1일에 시작됩니다.
-지급형식: 시군 지역화폐, 전자카드, 모바일, 지류로 지급됩니다.
-사용처: 전통시장, 소상공인 업체가 대상이며 백화점, ssm, 유흥업소, 대형마트, 연매출 10억 원 이상 점포 제외입니다.
-사용지역: 주소지 시, 군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자에 선정되면 문자메시지로 확정이라고 날아오며 신청하실 때 입력하신 주로 소 카드가 배송됩니다.
카드 수령 이후 해당 카드를 모바일 앱, 고객센터를 통해 등록하시면 체크카드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신청 제출 서류는 주민등록 초본이고 최근 5년 안에 연속 3년 이상 거주자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자 를확인 받아야 합니다, 발생일, 신고일, 변동 사유, 주민등록 번호 뒷 지리 포함합니다.
지역화폐 등록 위임장은 부모, 형제자매 및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에 한해 허용됩니다.
신청 조건에 해당되는 도내 청년이시라면 경기도 일자리 플랫폼 잡아라 에서 회원 가입 후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
방문 또는 우편 접수는 못합니다.
18시까지 신성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를 하셔야 합니다.
신청은 3월 2일부터 4월 1일까지 1분기 신청 접수하실 수 있으며 보다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경기도 콜센터
031-120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제가 요즘 여러 가지 정부 지원정책에 대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알면 알수록 정보가 힘이라는 겁니다.
아는 만큼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지원정책이 적지도 않을뿐더러 지원금 또한 적지 않다는 게 놀랍니다.
귀찮다 생각하지 마시고 여러 가지 정보검색하셔서 잘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기능사, 기능장, 기사 시험 일정 (0) | 2020.03.20 |
---|---|
복권기금 꿈 사다리 국가장학금 (0) | 2020.03.19 |
난시 증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 2020.03.17 |
왼쪽 눈 떨림 현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 2020.03.16 |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 어플 알아보기 (0) | 2020.03.15 |